『한』가족
일본은 휴대전화 천국, 항공 서비스도 OK 본문
반응형
현대의 통신은 무선통신과 인터넷의 시대라고 해도 과언이 아닐 것이다.
특히 휴대전화의 진화는 눈 부실 정도다.
단순히 통신의 단계를 넘어서 소위 유비쿼터스의 메인 축 역할을 함과 동시에 통신 이외의 분야에서도 두각을 드러내고 있다.
미국에서는 일부 공항에 한해 휴대전화를 이용한 탑승권, 그리고 신분확인 등의 보안 역할까지 수행할 수 있다는 소식을 전한 바 있다.
2007/12/10 - [하고하고/항공소식] - 이제 종이 탑승권도 필요없는 시대가 열린다.
휴대전화가 탑승권(보딩패스)의 역할을 대신할 수 있는 지 테스트하고 있는 것이다. 다만 일부 PDA 기능을 함께 가진 휴대전화에서만 가능한 것이지만..
일본은 이미 휴대전화를 이용한 항공 서비스 실용화 단계
그런데 일본은 이런 약간의 불완전한 휴대전화 이용 범위를 제한하지 않고 항공 서비스 부문에서 거의 완벽하게 이용 가능한 수준에 이르고 있다.
미국에서는 일부 항공사에서 실험적으로 실시되고 있는 휴대전화 이용, 항공기 탑승수속이 일본에서는 이미 실용화 단계에 들어서고 있는 것이다. 일본 국내선 시장의 약 60%를 점유하고 있는 전일공수(ANA, http://www.ana.co.jp/)는 이미 모바일 기기를 2006년 9월부터 업무에 적용하기 시작했다.
휴대전화를 이용해 항공편을 예약하고, 좌석 맵을 직접 선택하면 휴대전화로 바코드 형태의 예약 기록, 탑승권이 날아오고 이 휴대전화는 그대로 탑승권의 역할까지 수행한다. 즉 예약 단계는 물론이거니와 탑승할 때도 종이 탑승권이 필요없는 셈이다. 물론 만일을 대비해서 공항에서 종이 탑승권을 출력할 수도 있다.
휴대전화로 'ANA Mobile 시스템' 접속하여 예약과 좌석배정 데이터를 탑승수속, 탑승 시까지 그대로 이용할 수 있다. 물론 여러사람 예약도 한 사람 휴대전화로 가능하다. 이름, 나이, 신분증 (일본은 신분증이 없으므로 대개 여권 정보를 입력한다.), 신용카드 정보, 전화 번호와 함께 마지막 이메일을 등록하면 등록한 휴대전화 이메일로 바코드 형태의 탑승권과 예약 정보를 받는다.
공항에 도착해 사전에 받은 항공편 예약, 탑승권 정보를 가진 휴대전화를 보안 검색장 앞에 있는 장비에 갖다 대기만 하면 OK. 따로 탑승수속 밟을 필요도, 종이 탑승권을 뽑을 이유가 전혀 없는 것이다.
ANA는 이 시스템을 일본 주요 국제 공항 (하네다, 나리타/동경, 칸사이/오사카, 츄부/나고야) 에서 서비스하고 있으며, 중국의 푸동 공항도 적용 중이다.
물론 제한사항도 있다. 2살 미만의 유아를 동반한 승객은 코드쉐어(다른 항공사 항공편에 ANA 승객을 태우는 것)편에는 적용되지 않으며, 단체 승객의 경우도 이용할 수 없기는 하다.
미국은 아직까지 실험 단계
그러면 미국은 항공 서비스 부문에 있어서 휴대전화 활용은 어느 수준일까?
컨티넨탈 항공은 휴대전화 탑승수속을 현재 3개월째 시범 운영 중이며, 아메리칸 항공도 올 1월 모바일 항공시스템을 오픈했다. 그러나 일본에서와 같이 항공 서비스 전반에 걸쳐 휴대전화를 이용할 수 있는 수준은 아니며 예약 확인, 정보 검색 등 일부 서비스 만이 제공 가능한 수준이다.
ANA의 시스템이 매우 놀랍고 훌륭한 것이긴 하지만 미국에서 이런 시스템을 이용하기에는 아직 그 이용자수가 전체에 비해 미미할 것이라는 의견이 지배적이다. 어디서나 인터넷을 이용할 수 있는 환경에서 굳이 휴대전화를 이용해 탑승수속과 탑승권을 사전에 받을 이용자가 얼마나 되겠냐는 다소 회의적인 분위기다.
일본에선 업무상 항공기 이용하는 승객의 96%이 휴대전화를 가지고 있는 반면, 미국은 81%에 불과하다. 그리고 그 중 일본은 57% 승객이 휴대전화를 이용해 인터넷에 접속하는 반면 미국은 36%에 정도에 머물고 있다. 게다가 또 한가지 원인은 일본에서는 많은 정보량을 한꺼번에 보여줄 수 있는 대형 화면의 형태의 휴대전화를 선호하는 것도 이유가 될 수 있다.
미국 항공사들은 내년 경에나 항공 서비스에 모바일 기기를 이용하게 될 것으로 예상되지만 그것도 전면적인 적용까지는 시간이 더 걸릴 것이라고 한다.
우리나라는 아직 이제 막 검토를 시작한 단계
IT 강국으로 불리며 인프라에서 만큼은 세계 어느나라에 뒤지지 않는다고 자랑하는 우리나라의 항공 서비스 부문에서 휴대전화 이용은 어느 수준일까?
한마디로 말하면 아직 초보 수준단계 서비스를 검토하고 있는 상황이라고 해야 할 것 같다. 휴대전화를 이용해 예약 정도나 확인 가능한 상태이며, 항공편 운항과 관련된 지연(Delay), 결항(Cencel) 등의 단편 정보만 받아보는 수준이라고 할 수 있다.
이제 우리나라 항공사들도 국민 한사람이 한대의 휴대전화를 사용하고 있는 현실을 감안한다면 이런 선진화된 서비스를 적극 검토해야 하지 않을까?
다만 휴대전화의 특성 상 각 나라마다 표준과 환경이 다르므로 국제선까지 일시에 적용하기에는 무리가 있을 것이다. 휴대전화 단말기를 Scanning (Reading) 하는 장비나 시스템을 전 세계 곳곳에 설치해야 하기 때문이다. 그래서 아마도 미국이나 일본과 같이 국내선 항공수요가 활발한 나라가 이런 휴대전화 항공서비스 적용에 비교적 수월한 것이 아닌가 하는 생각을 해 본다.
어쨌거나 머지않은 장래엔 휴대전화는 사회 전반에 걸쳐 서비스에 사용되는 생활 필수품목이 될 것이다. 이제 휴대전화는 더 이상 '전화'라는 통신 목적의 명칭으로만 사용하기에는 그 역할에 비해 다소 부족해 보이기까지 한다.
특히 휴대전화의 진화는 눈 부실 정도다.
단순히 통신의 단계를 넘어서 소위 유비쿼터스의 메인 축 역할을 함과 동시에 통신 이외의 분야에서도 두각을 드러내고 있다.
미국에서는 일부 공항에 한해 휴대전화를 이용한 탑승권, 그리고 신분확인 등의 보안 역할까지 수행할 수 있다는 소식을 전한 바 있다.
2007/12/10 - [하고하고/항공소식] - 이제 종이 탑승권도 필요없는 시대가 열린다.
휴대전화가 탑승권(보딩패스)의 역할을 대신할 수 있는 지 테스트하고 있는 것이다. 다만 일부 PDA 기능을 함께 가진 휴대전화에서만 가능한 것이지만..
일본은 이미 휴대전화를 이용한 항공 서비스 실용화 단계
그런데 일본은 이런 약간의 불완전한 휴대전화 이용 범위를 제한하지 않고 항공 서비스 부문에서 거의 완벽하게 이용 가능한 수준에 이르고 있다.
미국에서는 일부 항공사에서 실험적으로 실시되고 있는 휴대전화 이용, 항공기 탑승수속이 일본에서는 이미 실용화 단계에 들어서고 있는 것이다. 일본 국내선 시장의 약 60%를 점유하고 있는 전일공수(ANA, http://www.ana.co.jp/)는 이미 모바일 기기를 2006년 9월부터 업무에 적용하기 시작했다.
휴대전화를 이용해 항공편을 예약하고, 좌석 맵을 직접 선택하면 휴대전화로 바코드 형태의 예약 기록, 탑승권이 날아오고 이 휴대전화는 그대로 탑승권의 역할까지 수행한다. 즉 예약 단계는 물론이거니와 탑승할 때도 종이 탑승권이 필요없는 셈이다. 물론 만일을 대비해서 공항에서 종이 탑승권을 출력할 수도 있다.
ANA는 휴대전화를 항공 서비스 전반에 이용할 수 있어 < 출처: ANA >
일본은 우리가 흔히 컴퓨터 등에서 사용하는 전통적인 이메일 외에 휴대전화 이메일도 많이 사용한다. 흔히 SMS 라고 하는 문자 서비스가 아닌 전통적인 이메일 서비스도 휴대전화를 통해 이용할 수 있다.
즉 090-2838-3938 라는 휴대전화 번호 외에 그와 결합된 loveme@docomo.co.jp 라는 이메일 계정이 따로 있으며, 이 이메일 계정은 휴대전화로 어디서나 접속 가능하다.
즉 090-2838-3938 라는 휴대전화 번호 외에 그와 결합된 loveme@docomo.co.jp 라는 이메일 계정이 따로 있으며, 이 이메일 계정은 휴대전화로 어디서나 접속 가능하다.
공항에 도착해 사전에 받은 항공편 예약, 탑승권 정보를 가진 휴대전화를 보안 검색장 앞에 있는 장비에 갖다 대기만 하면 OK. 따로 탑승수속 밟을 필요도, 종이 탑승권을 뽑을 이유가 전혀 없는 것이다.
ANA는 이 시스템을 일본 주요 국제 공항 (하네다, 나리타/동경, 칸사이/오사카, 츄부/나고야) 에서 서비스하고 있으며, 중국의 푸동 공항도 적용 중이다.
물론 제한사항도 있다. 2살 미만의 유아를 동반한 승객은 코드쉐어(다른 항공사 항공편에 ANA 승객을 태우는 것)편에는 적용되지 않으며, 단체 승객의 경우도 이용할 수 없기는 하다.
미국은 아직까지 실험 단계
그러면 미국은 항공 서비스 부문에 있어서 휴대전화 활용은 어느 수준일까?
컨티넨탈 항공은 휴대전화 탑승수속을 현재 3개월째 시범 운영 중이며, 아메리칸 항공도 올 1월 모바일 항공시스템을 오픈했다. 그러나 일본에서와 같이 항공 서비스 전반에 걸쳐 휴대전화를 이용할 수 있는 수준은 아니며 예약 확인, 정보 검색 등 일부 서비스 만이 제공 가능한 수준이다.
ANA의 시스템이 매우 놀랍고 훌륭한 것이긴 하지만 미국에서 이런 시스템을 이용하기에는 아직 그 이용자수가 전체에 비해 미미할 것이라는 의견이 지배적이다. 어디서나 인터넷을 이용할 수 있는 환경에서 굳이 휴대전화를 이용해 탑승수속과 탑승권을 사전에 받을 이용자가 얼마나 되겠냐는 다소 회의적인 분위기다.
일본에선 업무상 항공기 이용하는 승객의 96%이 휴대전화를 가지고 있는 반면, 미국은 81%에 불과하다. 그리고 그 중 일본은 57% 승객이 휴대전화를 이용해 인터넷에 접속하는 반면 미국은 36%에 정도에 머물고 있다. 게다가 또 한가지 원인은 일본에서는 많은 정보량을 한꺼번에 보여줄 수 있는 대형 화면의 형태의 휴대전화를 선호하는 것도 이유가 될 수 있다.
미국 항공사들은 내년 경에나 항공 서비스에 모바일 기기를 이용하게 될 것으로 예상되지만 그것도 전면적인 적용까지는 시간이 더 걸릴 것이라고 한다.
우리나라는 아직 이제 막 검토를 시작한 단계
IT 강국으로 불리며 인프라에서 만큼은 세계 어느나라에 뒤지지 않는다고 자랑하는 우리나라의 항공 서비스 부문에서 휴대전화 이용은 어느 수준일까?
한마디로 말하면 아직 초보 수준단계 서비스를 검토하고 있는 상황이라고 해야 할 것 같다. 휴대전화를 이용해 예약 정도나 확인 가능한 상태이며, 항공편 운항과 관련된 지연(Delay), 결항(Cencel) 등의 단편 정보만 받아보는 수준이라고 할 수 있다.
이제 우리나라 항공사들도 국민 한사람이 한대의 휴대전화를 사용하고 있는 현실을 감안한다면 이런 선진화된 서비스를 적극 검토해야 하지 않을까?
다만 휴대전화의 특성 상 각 나라마다 표준과 환경이 다르므로 국제선까지 일시에 적용하기에는 무리가 있을 것이다. 휴대전화 단말기를 Scanning (Reading) 하는 장비나 시스템을 전 세계 곳곳에 설치해야 하기 때문이다. 그래서 아마도 미국이나 일본과 같이 국내선 항공수요가 활발한 나라가 이런 휴대전화 항공서비스 적용에 비교적 수월한 것이 아닌가 하는 생각을 해 본다.
어쨌거나 머지않은 장래엔 휴대전화는 사회 전반에 걸쳐 서비스에 사용되는 생활 필수품목이 될 것이다. 이제 휴대전화는 더 이상 '전화'라는 통신 목적의 명칭으로만 사용하기에는 그 역할에 비해 다소 부족해 보이기까지 한다.
반응형
Comments